■ QS평가 TREND (3년)
※ 2013. 1H(예상)은 아래기준에 의거 작성된 것으로 향후 변동 가능▶문과8분야(정치 경제 사회 심리 법 커뮤 재무 영문)▶이과7분야(의학 기계 컴공 화공 수학 물리 생명)▶기준1=>총15분야의 순위내 랭킹 횟수, 기준2=>동일 횟수내 순위합
2011(확정)2012(확정)2013. 1H(예상)카이스트포스텍성균관외국어가톨릭
-
?
카포왜케내려가고 연세왜케올라감?유조
-
?
근거가뭐임
-
?
위에 기준에 나와 있듯이, 15개분야에서 순위내 랭크된 횟수를 기준으로 함……만일 동일 횟수라면, 순위합이 적은 곳이 상위에 랭크되는 것을 기준으로 함……이 기준 적용시, 총15분야중 연세14분야, 서울13분야, 고려12분야, 성균관9분야, 카이스트7분야, 포스텍6분야, 경희3분야에 랭크됨
-
?
카이스트와 포스텍은 문과에서 약세를 보였기 때문…….이과7분야만을 적용시, 카이스트와 포스텍은 3위와 4위로 나오지만, 문과8분야를 포함한 총15분야에서의 종합예상에서는 5위와,6위로 랭크
-
?
이것을 한 이유는 종합순위가 발표되지 않은 상황에서, 난무하는 순위경쟁에 조금이나마 근거를 제시해보고자 한 것으로, 이의 있다면 다른 방식으로의 순위를 제시해보는 것도 좋을 듯….
-
?
제목처럼 트랜드니, 확정순위인 작년/재작년것과 비교하니 흐름이 보여
-
?
그러면 11년과 12년에는 카포가 문과 분야에도 강세를 보여서 상위권에 들었다고? 이해할 수 없는데... 적어도 이공계특성화 대학은 이공계열 분야만 따지는거 아니야?
-
?
11년과 12년은 이미 확정되어 공식 발표된 것이고. 13년상반기는 종합순위 발표없이 부문별 순위만 발표ㅡㅡㅡㅡ이 과정에서,
-
?
카이스트가 이공계부문에서만 랭크된게 아니라 재무/회계부문에서도 3위에 랭크. 이는 이공계특성화대학으로서 이공계부문만 평가한다는 것에 상충되는 현상
-
?
어쨋든 평가야 QS에서 하반기에 하겠지만, 종합순위인만큼 문이과를 종합한 순위가 타당성은 더 있어보여. 카.포 입장에선 좀 억울할 수도 있겠지만, 문괴부문에 평가받은게 있다보니 감수해야 할 듯...
-
나 자취하는데 에어컨 실외기 밑에 비둘기가 둥지틀어서 잡아서 튀긴거 인증 4
-
중앙대 소프트 vs 서강대 물리 2
-
[2026 입결] 중앙대 vs 서강대 0
-
인천대 정치외교 vs 인하대 정치외교 5
-
건국대 기계 vs 인하대 기계 0
-
모든것을 반영한 문과 개념 서열 11
-
최근 3년간 100위권 안을 유지한 13개 대학 4
-
고3이 바라본 대학서열 15
-
★★★★ 개념 종합서열 18
-
★문과/이과 레벨별 Chief 8
-
2013 부산대,경북대,전남대(부경전)-단국대 동일과비교 7
-
오늘 대학와서 처음으로 여자애한테 고백해봤다...txt 3
-
13년 국내 대학순위는 이거 아니냐???? 7
-
명문 특수대학 종결이다 잘봐두길 5
-
2013등급별 공대순위 6
-
■ QS평가 TREND (3년) 10
-
대한민국 공대 순위 8

-
야 김상훈이라는 사람이 연세대 졸업하고 웅지세무대 입학해서 공부한대 4
-
문과사람취급 설연고성서한중이경시외 이과사람취급 설카포연고한성서중시지유 1
-
2013년 상/중상위권 대학 마지노선(2013ver.) 4
-
2013 부산대,경북대,전남대(부경전)-단국대 동일과비교 7
-
오늘 대학와서 처음으로 여자애한테 고백해봤다...txt 3
-
13년 국내 대학순위는 이거 아니냐???? 7
-
명문 특수대학 종결이다 잘봐두길 5
-
2013등급별 공대순위 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