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학강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5개 대학 발표

by ㅇㅇ posted Oct 28, 2025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ESC닫기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

꼼꼼한 눈높이 상담 KAIST·전남대

 

▷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

 

학생들의 평가가 엇갈리는 이유는 학교·학과에 따라 지도교수제 운영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. 잇따른 학생 자살 사건 이후 KAIST(교수 상담 적극성 2위)는 지도교수를 통한 상담을 강화했다. 수리학과 4학년 석동열(22)씨는 "몸이 안 좋아 휴학을 할지 말지 고민하다 교수님을 찾아갔다. 교수님이 '학업은 잠시 뒤로 미뤄도 된다. 쉬면서 마음을 다잡으면 더 잘할 수 있을 것'이라며 격려해 줘서 용기를 얻었다"고 말했다. 전남대(교수 상담 적극성 7위) 화학과 교수들은 각자 세 명의 학생을 맡아 상담하고 있다. 이 학과 4학년 정록암(25)씨는 "한 달에 한두 번은 교수님을 뵙고 이야기를 나눈다"며 "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고 있었는데 교수님이 실질적인 조언을 해주셔서 정말 고마웠다"고 말했다.

 

하지만 상담이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경우도 많았다. "지도교수가 있긴 한데 한 번도 상담해 본 적이 없어요. 딱 한 번 만난 적이 있는데 교수님이 우리 이름도 모르고 관심도 없어 보였어요."(<U>경북대</U> (http://search.daum.net/search?w=tot&rtupcoll=NNS&q=%EA%B2%BD%EB%B6%81%EB%8C%80&nil_profile=newskwd&nil_id=v20130430014905456)<U>경북대</U>자연대 4학년 이모씨) "지도교수와 e메일로 상담하지 않으면 성적 열람을 할 수 없어 학기가 끝날 때쯤이면 의무적으로 e메일을 보내긴 해요. 하지만 학생들도 형식적으로 보내고 교수님 답장도 간단한 인사말 정도예요."(경희대 4학년 박모씨)

 

<U>고려대</U> (http://search.daum.net/search?w=tot&rtupcoll=NNS&q=%EA%B3%A0%EB%A0%A4%EB%8C%80&nil_profile=newskwd&nil_id=v20130430014905456)<U>고려대</U>는 2008년 '전공지도교수제도'를 도입했다. 모든 학생에게 지도교수를 배정하고 한 학기에 한 번 이상 상담하도록 하기 위해서다. 그러나 학생을 만나지 않고도 '상담했다'고 학교에 알리는 교수가 적지 않았다. 이 학교 3학년 정모씨는 "지난해에 지도교수를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데 학교 자료에는 상담했다고 나와 있어 황당했다"고 말했다. 결국 고려대는 올해 이 제도를 폐지했다.

 

교육과정에 대한 11개 세부 문항 중 가장 낮은 점수가 나온 질문은 '원하는 강의를 제때 들을 수 있는가'(만족도 55.42점)였다. 교육과정 부문 평균(66.51점)보다 크게 낮았다. 특히<U>연세대</U> (http://search.daum.net/search?w=tot&rtupcoll=NNS&q=%EC%97%B0%EC%84%B8%EB%8C%80&nil_profile=newskwd&nil_id=v20130430014905456)<U>연세대</U>·고려대·<U>중앙대</U> (http://search.daum.net/search?w=tot&rtupcoll=NNS&q=%EC%A4%91%EC%95%99%EB%8C%80&nil_profile=newskwd&nil_id=v20130430014905456)<U>중앙대</U>·홍익대 등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서울 소재 사립대의 만족도가 최하위권에 머물렀다.

 

수업 때마다 의자 들고 다니기 고역

 

질 좋은 수업을 위해선 좋은 시설을 갖춘 강의실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. 하지만 홍익대·충북대·한국외국어대·중앙대·<U>인하대</U> (http://search.daum.net/search?w=tot&rtupcoll=NNS&q=%EC%9D%B8%ED%95%98%EB%8C%80&nil_profile=newskwd&nil_id=v20130430014905456)<U>인하대</U>등은 강의실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. 최근 학과 통폐합으로 진통을 겪고 있는 중앙대 일문과의 한 학생은 "전공과목 강의실이 너무 좁아 수업을 할 때마다 다른 강의실에서 의자와 책상을 가져와야 하는 지경"이라고 말했다. '강의실 숫자가 충분하냐'는 질문에 대한 긍정적 답변 비율이 숙명여대·연세대·인하대·중앙대·홍익대에선 40%를 밑돌았다.

 

 

 

★ 전국 4년제 대학중에서 강의실 만족도가 가장 낮은  5개 대학

 

1.  인하대

2.  중앙대

3.  한국외국어대

4.  충북대

5.  홍익대


Articles

5 6 7 8 9 10 11 12 13 14